백제역사유적지구
전체메뉴
close
홈 화면
백제역사유적지구
백제역사유적지구는
백제의 역사
백제의 건국과 성장
백제의 중흥과 발전
백제 연표
백제 왕력표
웅진시대(공주)
공산성
송산리고분군
사비시대(부여)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정림사지
능산리고분군
나성
사비시대(익산)
왕궁리유적
미륵사지
시대별유적
세계유산
세계유산이란?
세계유산이란?
세계유산의 유형
세계유산 현황
한국의 세계유산
이웃나라 세계유산
관람안내
관람안내
커뮤니티
공지사항
포토갤러리
홍보영상
백제세계유산센터 소개
환영사
조직구성
연혁
관련기관
찾아오시는 길
디지털안내판 보기
[백제의 역사]
백제연표
백제시대 (B.C)
18
온조왕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백제 건국
18.5
동명왕묘를 세움
6.8
마한에 사신을 보내고, 사방의 국경을 정함
5.1
도읍을 한산으로 옮김
2.4
국모(國母)의 묘(廟)를 세움
백제시대 (A.D)
8. 10
마한을 병합백제 건국
28. 2
온조왕 사망. 다루왕 즉위
38.가을
곡식이 여물지 않아 백성들의 술 빚는 것을 금지시킴
77. 9
다루왕 즉음, 기루왕 즉위
89. 6
지진이 발생하여 민가가 넘어지고 사망자들이 많이 발생
A.D 100 - 200
105. 1
신라에 사신을 보내서 강화를 요청
128. 11
기루왕 사망, 개루왕 즉위
166
개루왕 사망, 초고왕 즉위
A.D 200 - 300
214. 10
초고왕 사망, 구수왕 즉위
222. 2
관리에게 명을 내려 제방을 수리하게 함
222. 3
농사를 권하는 명령을 내림
234.
구수왕 사망, 고이왕 즉위
242. 2
남쪽 습지에 도전을 개척
260. 1
좌평 · 16관등제를 실시함
260. 2
복색제도 마련
286. 11
고이왕 사망, 책계왕 즉위
298. 9
한과 맥인의 침공을 받아 책계왕 사망, 분서왕 즉위
A.D 300 - 400
304. 10
분서왕이 낙랑태수가 보낸 자객에 의해 살해당함. 비류왕 즉위
327. 9
내신좌평 우복이 북한산성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왕이 직접 병사를 거느리고 평정함
344. 10
비류왕 사망, 계왕 즉위
346
계왕 사망, 근초고왕 즉위
366. 3
신라에 사신을 보내어 교빙
372. 9
왜왕에게 칠지도를 하사. 동진에 조공, 동진에서 근초고왕 봉책
375. 11
근초고왕 사망, 근구수왕 즉위
377. 10
왕이 3만의 병력으로 고구려 평양성을 공격함
384
근구수왕 사망, 침류왕 즉위
384. 9
동진의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래
385. 2
한산에 불사를 세우고 승려 10명을 출가 시킴
385
침류왕 사망, 진사왕 즉위
392. 7
고구려의 담덕(광개토왕)이 침입하여 석현 등을 함락함.한수 이북의 많은 성이 함락 당함
392. 10
고구려가 관미성을 함락함
392. 11
진사왕 죽음, 아신왕 즉위 시킴
397. 5
왜와 국교를 맺고 태자 전지를 보냄
A.D 400 - 500
405. 9
아신왕 사망, 전지왕 즉위
408. 1
여신을 상좌평으로 삼아 군국정사를 맡김. 상좌평의 직이 처음으로 생김
420. 3
전지왕 사망, 구이신왕 즉위
427. 12
구이신왕 사망, 비유왕 즉위
428. 2
왕이 4부 순무. 왜의 사신과 수행인 50명이 옴
447. 7
가뭄으로 흉년이 들어 굶주리자 신라로 도망가는 백성들이 많음
455. 9
비유왕 사망, 개로왕 즉위
457
송에 관작 요청. 송에서 책봉함
475. 9
고구려 침공으로 한성함락, 개로왕 사망
475. 10
문주왕 즉위, 웅진으로 천도
476. 2
대두산성을 수리하고 한강 이북의 민호를 이주시킴
476. 4
탐라국 백제에 신속해 옴
477. 9
문주왕 피살, 삼근왕 즉위
479
삼근왕 사망, 동성왕 즉위
498. 8
탐라를 정벌하려 하자 탐라에서 사신을 보내 사죄함
A.D 500 - 600
501. 12
웅천 북쪽 벌판에서 전렵, 백가가 동성왕을살해. 무령왕 즉위
510. 1
명을 내려 제방을 축조하고 유민을 정착 시킴
513. 6
왜에 오경박사 단양이를 파견
516
오경박사 고안무를 왜에 파견
523. 5
무령왕 사망, 성왕 즉위
527
대통사 창건
538
왜에 불교전수, 역박사 ․ 오경박사 ․ 의학박사를 보냄
538.봄
사비(부여)로 천도, 국호를 남부여로 함
541
양에 사신을 보내 모시박사와 열반경의 및 공장화사 등을 청함.
544. 1
왜에 사신 파견, 득문, 기마, 왜에서 귀국.
552
금동석가상과 경론을 일본에 보냄. 노리사치계가 일본에 불교전파
554. 7
성왕이 관산성에서 신라 복병의 공격을 받아 전사함
554
위덕왕 즉위
544
담혜 등 승려 9명 일본에 건너감, 일본에 역박사 · 오경박사 · 의박사 보냄
567
위덕왕의 누이 형공주가 발원하여 원찰 세움(능사)
577. 12
위덕왕이 죽은 왕자를 위해 왕흥사를 세움
598. 12
위덕왕 사망, 혜왕 즉위
599
혜왕 사망, 법왕 즉위
A.D 600 - 700
600
법왕 사망, 무왕 즉위
600. 1
왕흥사 중창
602.10
승려 관륵이 일본에 천문․지리․역서․ 방술서 등을 전함.
626
당에 사신 파견, 명광개를 보냄
630. 2
사비의 궁성 수리. 왕이 웅진성으로 행차함
634. 2
왕흥사 준공됨.
639
무왕의 비(사택적덕의 딸)가 발원하여 익산 미륵사 서탑 조영
641(의자1)
무왕 죽음, 의자왕 즉위.
642. 7
신라를 공격하여 40여 성을 점령.
642. 8
신라의 대야성을 공격하여 얻음.
660. 7. 10
나당군의 백제 침략, 당의 군대와 기벌포 에서 대치. 계백이 황산벌에서 김유신에게 패함.
660. 7. 13
나당군에 의해 사비도성 함락, 의자왕 웅진으로 피난
660. 7. 18
의자왕 나당연합군에게 항복
660
흑치상지 등 임존성에서 부흥운동을 일으킴
660. 9
백제 영토에 5도독부 설치함, 웅진 도독부 설치
660. 9. 3
소정방이 의자왕과 백제의 왕족 · 신하 · 백성들을 데리고 당으로 돌아감.
661
복신 · 도침 등 주류성을 거점으로 부흥 운동 전개
661
백제 부흥군, 백제 서북부 일원 회복. 부흥군, 근거지를 임존성으로 옮김
662. 5
일본에 가 있던 왕자 풍이 귀국, 부흥 운동을 지휘함
662. 7
웅진강 동쪽의 지라성 · 윤성 · 사정성 · 대산 등의 4성책을 함락
663. 8. 28
일본원병 백강구에서 패배, 풍왕이 복신을 살해함, 풍왕 고구려로 도피
663. 9. 8
부흥군의 마지막 거점인 주류성 함락
자료출처 : 충청남도. 2010. 한국의 고대왕국 백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