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역사유적지구
백제는 기원전 18년부터 660년까지 700여년간 존속한 한국의 고대국가이다. 백제는 한강 하류 유역의 소국에서 시작하여 한반도의 서남부 지역을 통합한 중앙집권적 고대국가로 발전하였다. 백제는 자의 및 타의에 의해 2차례에 걸친 천도를 단행했는데, 수도의 소재지에 따라 한성시대, 웅진시대, 사비시대로 구분한다. 한성시대를 전기, 웅진·사비시대를 후기로 구분할 수 있다. 한성은 오늘날의 서울, 웅진은 충남 공주, 사비는 충남 부여에 해당한다.
신청유산은 백제 후기의 수도 관련 유적이다. 즉 웅진·사비시대의 유적이다. 시기적으로는 475년에서 660년까지(5~7세기) 약 200여 년간의 시기에 해당된다. 백제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도시는 통치와 관리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탄생하였다. 이러한 동아시아의 수도들은 한 나라의 정치·경제·종교의 중심지이며, 그 나라의 수준을 보여주는 문화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고대 동아시아의 수도 내 여러 시설 중에서 특히 강조된 것은 왕성, 사찰, 그리고 능묘이다. 왕성은 왕의 통치 공간과 생활 공간으로 구성되었으며, 통치의 편의를 위해 별궁을 두기도 하였다. 사찰은 수도 내외에 위치하면서 통치자들의 통치를 종교적으로 정당화하고,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능묘는 수도의 밖에 인접하여 입지하면서 앞 시기 최고 권력자였던 선왕과 현재 최고 권력자인 왕을 매개해 주며, 왕실의 정통성과 신성성을 보장해주는 공간이다.
신청유산은 웅진시대 수도 관련 유적인 공주 지역의 공산성과 송산리고분군, 사비시대 수도 관련 유적인 부여 지역의 부소산성과 관북리유적, 나성 및 정림사지, 능산리고분군, 사비시대 후기 수도의 기능 보완을 위해 조성되었던 복도(複都) 관련 유적인 익산 지역의 왕궁리유적과 미륵사지이다. 신청유산을 성격별로 구분하면, 표와 같다.
구  분 | 왕  궁 | 사  지 | 왕  릉 | 도시방어성 |
---|---|---|---|---|
웅진시대 (공주) |
공산성 | 송산리고분군 | ||
사비시대 (부여) |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 정림사지 | 능산리고분군 | 부여나성 |
사비시대 (익산) |
왕궁리유적 | 미륵사지 |